병원, 변호사 파워링크, 체크리스트를 통해서 점검해보세요
전문직 파워링크 잘되고 계신가요.
단순히 '파워링크'가 효과가 없는 것이 아닙니다.
정확히 짚고 넘어가자면, 파워링크에 대한 이해가 부족해서 여태 효율을 보신 적이 없을 뿐입니다.
조금만 이해해도 알 수 있는 부분인지라 답답한 마음에 글로써 정리를 드리려고 합니다.
파워링크, 혹시 이렇게 하고 계신건 아닌지 체크해보세요!
1. 누구나 하는 키워드에 등록한다.
병원, 변호사, 전문직은 다른 업종에 비해 경쟁 강도가 높은 편이고 키워드도 한정적입니다.
쉽게 설명드리면 맛집이나 쇼핑몰은 세부적으로 키워드가 나뉘면 정말 끝도 없습니다.
음식의 종류는 셀 수 없지만 우리나라 진료 과목의 수와 진료 종류의 수는 정해져 있기 때문입니다.
변호사, 전문직도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당연히 이는 공급 대비 수요자가 많다는 것을 의미하고 한정된 수요는 치열한 경쟁으로 이어집니다.
즉, 제한된 키워드(단순한 키워드 EX-강남 치과, 서울 치과 등)에 경쟁이 집중되는 것입니다.
메인 키워드만을 경쟁하는 것이 아닌 전략적인 접근이 보다 중요합니다.
2. 입찰가를 동일하게만 설정해 두었다.
성과를 보고 입찰가를 다 다르게 설정해야 하는데 경쟁 강도, 경젱 병원, 업체를 고려하지 않고
입찰가를 똑같이 설정하면 노출은 물론 클릭 수도 줄어듭니다.
혹시 이렇게 하고 계신데 효율이 나지 않는 것은 지극히 당연한 현상입니다.
경쟁이 심한 병원, 병호사, 전문직 업종인 만큼 전략적인 대응이 필수적인데요.
제가 곰곰이 고심 끝에 팁을 드리면 초기 셋팅 시 다음 3가지를 중점적으로 보셨으면 좋겠습니다.
1) 업종을 전략적으로 분석해주는지
지금 이 글을 읽는 분들에게는 클릭 수가 아니라 신규 고객의 유입이 궁금적인 목표이실 겁니다.
업종은 무엇인지, 메인으로 다루고 있는 진료, 서비스가 무엇인지조차 알지 못하면 업종 맞춤 대량 키워드 발굴은 어불성설일 것입니다.
2) 업종 맞춤 대량 키워드 발굴을 해주는지
진정으로 그 업체에 대한 카테고리 분류를 마쳤다면 키워드 분류 작업에 들어가야 합니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누구나 하는 키워드가 아닌, 입찰가가 낮으면서 유입이 되었을 때 진정 해당 병원, 업체에 고객이 메리트를 느낄 수 있도록 키워드를 설정해야 합니다.
3) 입찰가 최적화
업체에 따라 입찰가 최적화 노하우는 다 다르기 마련입니다.
그저 경쟁 강도가 높다고 입찰가를 올리고 경쟁이 적어 입찰가를 낮추는 것보다 디테일하게 접근해야 합니다.
과연 저희는 어떻게 셋팅에 들어가는지 그 예시를 한번 보실까요?
1차적으로 상기한 바처럼 업종, 메인 서비스에 따라 카테고리를 분류합니다.
2차적으로는 여기에 맞는 업종 맞춤적인 타겟 키워드,
검색량이 적어도 경쟁 강도도 낮은 서브 키워드를 대량 추가 등록합니다.
여기까지만 해 두더라도 평균 클릭 단가가 확 낮아집니다.
여기서 또 한 가지 놓치실 수 있는 게 '부정 클릭 방지'입니다.
경쟁 병원, 업체가 시시때때로 마케팅 직원을 고용해서
내 파워링크 클릭으로 무의미한 비용 지출하는 것을 막아주는 시스템입니다.
끝으로 월 예산에 따라 입찰가 최적화 작업에 들어갑니다.
상품, 키워드 연관도에 따라 순위(입찰가)를 조정하는데 이걸 1차 최적화라고 부르겠습니다.
1차 최적화 작업의 효과가 괜찮았다면 연관 키워드를 계속 추가합니다.
다시 입찰가를 조정하고 전환율이 별로라면 이런 과정은 체계적으로 키워드 그룹 분류조차 할 수 없다면
결코 할 수 없는 과정이라고 말씀을 드립니다.
이렇게 2차 최적화 후 월간 보고로 성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도움 되셨다면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https://www.xn--939av3xf5jjli98e.com/bbs/board.php?bo_table=b0401&wr_id=10&page=1